'참치뱃살'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9.04.15 :: 참다랑어 - ほんまぐろ
참다랑어 ほんまぐろ 2019. 4. 15. 16:38

참다랑어 - ほんまぐろ

 

혼마구로(참다랑어,BLUE FIN TUNA)

어체중량은 30400kg이며 최대 856kg까지 나온 기록이 있다. (2011년 스페인) 육질은 붉은색을 띄고 아주고운 육질을 가지고 있으며, 맛이 매우 좋아 최고급 어종으로 알려져 있다. 어체는 검고 가슴 지느러미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북태평양에서 주로 서식하며 산란기에 지중해로 회유한다.

국내 유통되는 대부분의 참치가 지중해에서 포획한 것이다.

그 외에 우리나라 남, 동해, 일본, 전세계의 온대 및 열대 해역에서 서식하며 비교적 수온이 낮은 해역에서 높은 해역까지 또한 연안에서 외양까지의 표층수역에서 광범위 하게 서식한다.

태평양 회유 어군의 경우 산란기는 대만 근해에서는 46, 일본 최고의 어장인 츠가루 해협에서는 12~1월이다. 츠가루 해협은 어군의 회유시기에 맞물려 새해가 시작되고 새해 첫 경매에 가장 좋은 참치는 수억을 호가 하기도 한다. 대부분이 일본의 스시쟌마이가 낙찰 받았으며 , 긴자큐베이와 홍콩업체가 연합한 공동체가 강력한 경쟁자 이다. 우리나라 동해에서는 2~4월이며 주산란장은 우리나라 동해남부 해역과 대만 북부해역이다. 외줄낚시나 주낙을 이용한 일본의 어업방식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선망을 이용해 혼획을 빙자한 조업을 하고 있다. 이는 태평양 참다랑어 보존을 방해하는 행위이며 불법은 피한 편볍의 대표적인 예라 일본에서 엄청난 불만을 가지고 있다. 지중해 회유 어군의 산란기는 4, 5, 6월이다. 암컷의 성숙연령은 56년생(체중 약60kg)이며, 대형어의 포란수는 천만개 이상으로 산란기 동안에 여러번 산란한다. 이 산란시기에는 먹이를 먹지 않으므로 낚시(LONG LINER)의 미끼 또한 먹지 않는다.

부화 후 만 1년이면 체장 5278cm, 3년이면 102124cm, 5년이면 143160cm, 11년이면 225234cm로 자라며, 최대크기는 360cm,이다.

주로 잡식성으로 정어리, 멸치, 날치, 전갱이, 가다랑어,등 어류를 주로 잡아 먹으며, 그 외, 오징어류, 감각류, 해파리류 등도 잡아 먹는다.

 

 

NO 1

 

NO 2

 

NO 3

 

NO 4

 

NO 5

'참다랑어 ほんまぐ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다랑어NO4  (0) 2020.01.06
참다랑어NO3  (0) 2020.01.06
참다랑어 NO2  (0) 2020.01.06
참다랑어 NO1  (0) 2020.01.06
참다랑어 부산물  (0) 2019.06.26
posted by そうげつ[霜月]
: